메뉴 건너뛰기

Giri's Home

로켓 스토브

2017.11.15 00:09

Giri 조회 수:496

이동식 로켓스토브

http://blog.naver.com/hdthum/10105670661


http://blog.naver.com/mamiyalove/100132711232


http://cafe.naver.com/earthbaghouse/970


http://cafe.naver.com/nanlo/1142

얼마전 모 카페에서 로켓스토브 관련 글을 올려 뜨거운 설정이 벌어진 바 있다.

가장 의견이 분분했던 것은 장작투입구의 각도 또는 위치에 따른 구분이었는 데

해외에서는 아래 그림 1, 2, 3의 형태로 구분되어지는 것 같다.

4번의 그림은 짐작은 하겠으나 위의 유형을 본 일이 없으므로 언급을 유보한다.


누가보아도 1번은 L형, 2번은 J형, 그럼 3번을 뭐라 부룰까?

나는 V형이라 해서 질타를 받았는 데.......


 

우연의 일치인지 V형이라 표현한 것이 있다.

여기서는 J형을 두고 U형이라 했으니 딱히 틀리다고는 하지않겠다.


 

로켓스토브를 설명한 내용 중엔 L형에 관한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만큼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널리 쓰여지는 이유일게다.



 

L형 스토브에서 강조되는 것은 화실과 열기상승관을 단열하여 연소효율과 열이용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단열을 빼고 단순하게 장장투입구와 열기상승관이 이루는 각이 직각인 것으로 L형 로켓스토브라하기엔 적절한 구분이 아닌 것이다.
 

이 그림에서 비율의 문제는 나의 생각과 다르지만 공기의 흐름 즉 기류를 어설프게나마 설명하려 시도한 것은 높이 살만하다.
 

J형 스토브의 원류로 보아도 무방하겠다.

오히려 이 그림에서 배기압의 형성과 기류, 연소점 등이 쉽게 와닿는다.
 

조적식 로켓메스히터의 기본적인 구조이다.

로켓스토브는 심플한 연소구조임에도 높은 열효율을 내므로 오븐, 그릴, 난방 등에 손쉽게 사용될 수있다.
 

빵이나 비스켓, 피자를 구울 수있는 화덕인데 오븐과 그릴의 경계가 모호하다.


취사와 난방을 겸한 형태의 로켓메스히터를 설명한 그림이다.